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전국 지자체별 노인 버스 무임 정책 총정리] 만 65세 이상 어르신, 어디서 무료로 버스 탈 수 있나?

반응형

2025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고령층의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시내버스 무임 또는 교통비 환급 제도를 도입하는 지자체가 빠르게 늘고 있으며, 이는 어르신의 사회 참여와 이동권 보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국 각 지역별 노인 대상 시내버스 무료 정책 및 지원 형태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전국 공통의 경로우대 제도

  • 만 65세 이상 어르신은 주민등록상 생년월일 기준으로 경로우대 대상자입니다.
  • 서울을 비롯한 대부분의 광역시에서는 지하철은 무임 이용 가능하나, 시내버스는 유료인 경우가 많습니다.
  • 다만 일부 광역·기초지자체에서는 별도의 조례를 통해 시내버스 무임 또는 교통비 환급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지역별 노인 버스 무료 정책 정리 (2025년 6월 기준)

🔸 1. 제주특별자치도

  • 2025년 7월부터: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 → 시내버스 전면 무료
  • 2026년부터는 도시 지역까지 확대 예정

🔸 2. 대구광역시

  • 만 75세 이상 →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 전면 무임
  • 경로우대 교통카드 등록 필수

🔸 3. 대전광역시

  • 만 70세 이상 무임 탑승 조례 추진 중
  • 시의회 통과 시 2025년 하반기 시행 예정

🔸 4. 전라북도 남원시

  • 2025년 7월부터 시행: 만 70세 이상 → 시내버스 무상 이용
  • 남원시청 복지과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등록 가능

🔸 5. 충청남도 전체

  • 2019년부터 시행: 만 75세 이상 도민 대상 시내버스 전면 무료
  • 충남형 교통카드 사용 필요

🔸 6. 농어촌버스 무임화 시군 확대

  • 2025년까지 무임화가 완료된 기초지자체 예시:
    • 경북: 문경시, 의성군, 청송군, 봉화군
    • 전남: 영암군, 완도군, 진도군, 곡성군
    • 충북: 진천군, 음성군
    • 강원: 양구군, 인제군 등
  • 대부분 만 65세 이상부터 적용

💰 시내버스 완전 무임이 아닌 교통비 환급 제도 운영 지자체

🔹 경기도 성남시

  • 만 70세 이상 시민 → 분기별 최대 5만 7500원 환급 (연 23만 원까지)

🔹 경기도 의왕시

  • 만 65세 이상 → 분기별 최대 5만 원 (연 20만 원 한도)

🔹 세종특별자치시

  • 기존 무료 정책 검토 후, 정액권 ‘이응패스’ 운영 중
  • 월 3만 원으로 무제한 시내버스 이용 가능

📌 제도별 비교 요약


🔍 꼭 확인하세요!

  1. 거주지 주민등록 여부에 따라 혜택 대상이 다릅니다.
  2. 대부분의 지자체는 교통카드 등록 또는 신청 절차가 필요합니다.
  3. 타지역 경로우대카드로는 혜택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지역별 정책 확인 후 이용해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사회에서 노인 교통복지 정책은 단순한 혜택을 넘어, 삶의 질과 사회참여를 위한 필수 조건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지자체에서 어르신을 위한 버스 무임·지원 정책이 확대될 예정이니, 거주 지역의 정책을 수시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